OBV 지표(On Balance Volume)는 기술적 지표의 하나다. 주가가 뚜렷한 등락을 보이지 않고 정체되어 있을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시장이 매집 단계에 있는지 아니면 분산 단계에 있는지를 알려준다.
OBV선은 다음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1) 주가의 종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은 전일의 OBV 에 가산하고, 2) 종가가 하락한 날의 거래량은 전일의 OBV 에서 차감하고, 3) 종가의 변동이 없는 날은 무시하며, 4) 배당락이나 권리락이 있는 경우에는 실제로 형성된 주가와 이론 주가를 비교하여 가감 여부를 결정한다.
종합주가지수가 하락하고 있는데 OBV선이 전 저점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있을 때는 시장에서 주가 하락을 이용하여 매집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만간 종합주가지수가 상승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반대로 종합주가지수가 상승하고 있는데도 OBV선이 고점이 전 고점에 이르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시장에서 주가 상승을 이용한 분산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만간 종합주가지수가 하락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종합주가지수가 상승 추세를 나타내다가 일시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을 때 OBV선이 상승세를 나타내면, 시장이 다음의 상승을 위하여 다져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은 5일, 20일, 60일, 120일, 200일 평균선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단기(5일, 20일), 중기(60일), 장기(120일, 200일) 이동평균선이 서로 밀집될 때가 있는데, 단기·중기·장기 이동평균선이 서로 밀집된다는 것은 투자기간이 다른 투자자들의 평균 매수 가격이 유사한 수준으로 수렴되고 있다는 뜻이다.
투자자들의 평균 매수 가격이 유사해지면 투자자들이 전부 비슷하게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면, 주가가 조금만 변동해도 모두 한꺼번에 수익을 실현하거나 손실을 실현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이 서로 밀집되면 작은 모멘텀에도 주가가 크게 변동할 수 있어 단기적으로 큰 폭의 주가 변동이 나타날 수 있다. 주가 변동성이 확장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