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후 줄줄 흘러내리고 있다. 상장 직후 사우디와 3420만 달러 규모 스마트팜 솔루션 제공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는 기사를 보고 무지성으로 담았는데 어느새 반토막이다. 

 

충남 부여에 본사를 둔 회사다. 농업회사법인에서 시작해 상장회사가 되었다.

스마트팜에서 연중 계속해서 토마토를 재배해 유통한다. 토마토를 가공해서 식음료를 만드는 자회사도 두고 있다. 2009년 도입된 품종인 대추방울 토마토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고 상품성이 우수하여 전체시장의 80% 넘어섰다. 국내 최초로 2019년 스테비아 토마토의 양산을 성공하여 ‘토망고’ 브랜드를 론칭하였고, 2019 년 114억원, 2020년 232억원 그리고 2022년에는 449억원으로 매출을 늘려갔다.

그러나 토마토를 빨리 키워 많이 유통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상장까지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우듬지팜은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또, 관련 기술 자체를 제품으로 국내외에 판매할 수 있고, 스마트팜을 설계/시공하거나 시설관리를 하거나 컨설팅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매출을 살펴보면 전부 토마토뿐이다. 

 

스마트팜은 ICT 기술 자체가 특별히 난이도가 높거나 어렵지는 않다.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양이 많지도 않다. 오히려 농작물 재배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중요하다. 토마토를 재배하면 토마토 재배 노하우가 중요하고, 대마를 재배하면 대마 재배 노하우가 중요하다. 그래서 우듬지팜이 스마트팜 기술을 아주 광범위하게 보급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상장 후 주가는 줄줄 흘러내리고 있다. 사우디와 생육환경이 달라서 사우디에서 우듬지팜 스마트팜 솔루션을 설치하고 사용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MOU 체결 기사가 9월 14일인데 어느 정도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PoC를 하더라도 효과를 못볼 수도 있고 그러면 정식계약은 엎어질 수도 있고 한참 뒤의 일이 될 수도 있겠다. 

 

 

영업이익율은 8.48%로 재배와 유통을 다 하는 스마트팜 회사 치고 높지는 않아보인다. 비교할 만한 스마트펌 회사는 없지만, 농업회사법인과 비교하면 훨씬 낮은 영업이익률로 보인다. 

 

지난 달부터 체시스가 한동훈 테마주로 종종 상승률 상위종목에 보이고 있다. 테마주가 된 이유는 부사장 및 사외이사가 한동훈 장관과 대학교 및 대학원 동문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테마주가 된 이유는 중요하지 않고 시장이 그렇게 인식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한동훈 테마주로 묶였던 노을, 태양금속, 부방보다 가볍게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체시스는 2023. 10. 19. 기준 시총 589억원이다. 노을(1,439억원), 태양금속(1,398억원), 부방(1,705억원)보다 2~3배 시총이 가볍다. 최대주주 등 제외한 유동주식비율도 63.75%이니 300억대로 움직이는 가벼운 주식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인지 전통적인 테마주고,  2019년에도 아프리카 돼지열병, 코로나19 관련주로 상승했던 적이 있다. 

[주식] 체시스 주가 - 아프리카 돼지열병, 코로나19 관련주, 최대주주 차익실현

체시스는 본업과 상관 없이 상승률 상위종목에 자주 보였던 종목이다. 예전에는 이명곤 회장이 김무성 씨와 같은 한양대학교 출신이라는 이유로 김무성 테마주로 묶여 상승한 적이 있고, 이후에는 종속회사인 넬바이오텍을 이유로 대북주,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주, 우한 폐렴 관련주 등의 테마로 상승하고 있으나, 모두 별로 실체가 없어보인다. 

 

 

2019년부터 줄곧 영업이익 마이너스였다가 2023년에 흑자전환했다.

 

자동차 부품회사이다. GM대우 협력업체로 GM 납품업체인데 한국 GM 군산공장 생산중단 등으로 인해 매출이 감소하고 있었는데, 인도  Mahindra & Mahindra Ltd.에도 납품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중반부터 하락추세에 있다 최근 테마로 돌려 상승하고 있는데, 월봉으로 보면 상승세가 강하고 매수세 이탈이 없어서 테마만 강하다면 좀 더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한동훈 장관이 정치를 하더라도 국회의원을 할 것 같지는 않은데 이 테마가 계속 강하게 갈지는 의문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국회의원 거치지 않고 검찰총장에서 곧바로 대선 출마했고, 만약 정치를 하더라도 국회의원은 아주 명예로운 자리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 같다. 한동훈 장관 본인이 매우 엘리트인데 국회의원은 너무 편차가 크니까 거기 섞이고 싶어할지 조금 의문이다. 하지만 총선에 불출마하더라도 대선이 있으니까 한동안 테마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한동훈 테마가 아니더라도 가격이 낮을 때 사두면 한 번씩 이런저런 테마에 묶일 것 같은 주식이다. 

+ Recent posts